-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910년대 민족 운동한국사 2022. 3. 15. 22:08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1910년대 민족 운동
1. 국내의 비밀 결사
- 배경 : 일제의 탄압 강화
(1) 안악 사건, 105인 사건 조작→민족 인사 탄압
(2) 의병에 대한 색출과 공세 강화(애국 인사들 해외로 망명, 국내에서는 비밀 결사를 조직하여 항일 운동) - 독립 의군부(1912)
인물 임병찬이 유생들과 함께 조직 특징 고종의 밀지를 받아 의병 규합, 복벽주의(황제 국가 부활) 추구 활동 국권 반환 요구서 발송, 의병 전쟁 계획 결과 지도 인사 체포 등 조직 발각으로 해체 - 대한 광복회(1915)
인물 박상진, 김좌진 주도 특징 군대식 조직, 공화정 수립 추구 활동 독립군 기지 건설(만주), 무관 학교 설립 추진→군자금 모금, 친일 부호 처단 결과 조직 발각으로 해체 2. 국회 독립운동 기지의 건설
- 만주
(1) 특징 : 해외 독립군 기지 개척, 신민회 주도
(2) 서간도(남만주) : 이화영·이동녕 등이 삼원보에 정착→경학사(→부민단) 설치, 신흥 강습소(→신흥 무관 학교) 설립, 대한 독립단, 서로 군정서 조직
(3) 북간도(용정촌, 명동촌) : 서전서숙, 명동 학교 설립, 중광 단(→북로 군정서) 조직
(4) 북만주 : 밀산부에 한흥동(독립운동 기지) 건설
※신흥 무관 학교※
삼원보의 경학사가 설립한 학교에 청년들이 모여들었다. 기억을 더듬어 보면 학생들의 의지가 대단하였다. 학교에 입학이 가능한 연령은 18세 이상이었지만 더 어린 학생들이 찾아온 적도 있었다.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학과 교육 이외에도 군사 훈련을 받아야 했지만 학생들의 지친 기색을 찾아볼 수 없었다. 학교가 더욱 활기를 띠었던 시절은 지청천, 김창환이 합류한 이후였다. 이들은 모두 대한 제국 무관 학교 출신으로, 교관으로 활동하며 독립군 양성에 힘을 쏟았다.- 연해주
(1) 신한촌 : 블라디보스토크에 신한촌 건설
(2) 권업회(1911) : 민족의식 고취, 권업신문 발행, 광복군 양성 추진
(3) 대한 광복군 정부(1914)
- 권업회가 독립 전쟁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만든 조직
- 이상설·이동휘를 정·부통령으로 하는 정부 형태의 독립군 단체
(4) 전로 한족회 중앙 총회(대한 국민 의회로 개편)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민족의 최고 가치는 자주와 독립이다. 이를 수호하기 위한 투쟁은 민족적 성전이며, 청사에 빛난다. (중략) 1910년 일본에 의하여 국권이 침탈당하자 국내외 지사들은 이곳에 결집하여 국권 회복을 위해 필사의 결의를 다짐했다. 성명회와 권업회 결성, 한민 학교 설립, 신문 발간, 13도 의군 창설 등으로 민족 역량을 배양하고 (중략) 대일 항쟁의 의지를 불태웠다.
- 신한촌 기념기 비문 -- 상하이 : 김규식, 여운형 등이 신한 청년당(1918) 조직→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
- 미주
(1) 대한인 국민회(1909) : 안창호·박용만·이승만 등이 조직, 서북간도와 연해주의 독립운동에 자금 지원
(2) 흥사단(1913) : 안창호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창립한 민족 운동 단체
(3) 대조선 국민 군단(1914) : 박용만이 하와이에서 조직한 군대
※미국 이주와 독립운동※
- 1910년~1924년에 낡은 사진 한 장만을 가지고 고향을 떠나 결혼한 부녀자 이민은 약 1,100명에 달하였다.
- 박용만이 대조선 국민 군단을 조직하였다.
- 여러 애국 단체가 결성되어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비롯한 독립운동 단체에 재정 지원을 하였다.1910년대 민족 운동 요점 정리 끝.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920년대 무장 독립 전쟁과 의열 투쟁 (0) 2022.03.1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0) 2022.03.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제의 경제 침탈 (0) 2022.03.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제의 식민지 통치 (0) 2022.03.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근대 문물의 수용 (0) 2022.03.11 - 배경 : 일제의 탄압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