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920년대 무장 독립 전쟁과 의열 투쟁
    한국사 2022. 3. 17. 21:59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1920년대 무장 독립 전쟁과 의열 투쟁

     

    1. 1920년대 무장 독립 전쟁

    • 봉오동 전투(1920)
      (1) 배경 : 독립군의 국내 진공 작전 수행→일본군의 독립군 추격 작전
      (2) 전개 : 대한 독립군(홍범도), 군무 도독부(최진동), 국민회군(안무) 등의 연합→봉오동에서 일본군 대파(수백 명의 일본군 살상)
    ※홍범도의 봉오동 전투※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 최진동의 군무 도독부군 등은 연합 부대를 편성하여 봉오동 주변 야산에서 매복하고 있다가 일본군을 기습하여 커다란 전과를 올렸다. 소속통에 따르면 일본군은 전사 157명, 중상 200명, 경상 100여 명의 큰 피해를 입은 반면, 독립군은 전사 4명, 중상 2명의 가벼운 피해에 그쳤다고 한다.
    • 청산리 전투(1920)
      (1) 배경 :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 패배→훈춘 사건 명분으로 일본군의 만주 진입
      (2) 전개 : 북로 군정서(김좌진), 대한 독립군(홍범도) 등의 연합→6일 동안 10여 차례의 전투(백운평, 완루구, 천수평, 어량촌, 맹개 골, 천보산, 고동하 전투 등)에서 일본군 격파
    • 독립군의 시련
      (1) 간도 참변(1920~1921) : 일본군이 청산리 전투 패배에 대한 보복으로 간도 지역 동포를 무차별 학살
      (2) 독립군의 이동 : 독립군 주력 부대들이 러시아와 만주 국경의 밀산에 모여 서일을 총재로 하여 대한 독립 군단 조직(1920)→러시아 영토(자유시)로 이동
      (3) 자유시 참변(1921) : 독립군 부대의 통합 과정에서 지휘권 분쟁 발생→소련 적색 군의 무장 해제 요구→거부하는 독립군의 큰 희생
    • 3부의 성립(1923~1925)
    성립 - 만주 지역 독립 단체들과의 통합 운동
    - 참의부(압록강 연안), 정의부(남만주 일대), 신민부(북만주 일대)
    활동 - 만주적 민정 기관(동포들의 자치 행정 담당)과 군정 기관(독립군의 훈련·작전 담당)을 갖춤
    - 무장 독립 군을 편성하여 독립 전쟁 전개
    • 미쓰야 협정(1925) : 조선 총독부가 독립군 탄압을 위해 만주 군벌과 협정
    • 3부 통합 운동
      (1) 배경 : 미쓰야 협정 체결 등으로 만주에서 독립 활동 어려움, 민족 운동 단체의 통합 필요성 제기, 국내의 민족 유일당 운동 등 민족 유일당의 기치 아래 활발한 통합 운동
      (2) 통합 : 국민부(남만주)와 혁신 의회(북만주)로 통합

    2. 의열 투쟁

    • 의열단
    조직 만주 지린(길림)에서 김원봉, 윤세주 등이 조직(1919)
    활동 - 목표 : 일제 요인·민족 반역자 암살, 식민 통치 기관 파괴
    - 지침 :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1923)민중의 직접 혁명 추구
    - 의거 : 부산 경찰서(박재혁, 1920), 조선 총독부(김익상, 1921), 종로 경찰서(김상옥, 1923), 일본 왕궁(김지섭, 1924), 동양 척식 주식회사(나석주, 1926) 등에 폭탄 투척
    방향 전환 - 의열 투쟁의 한계 인식에 따른 조직적 무장 투쟁 준비
    - 지도부 등의 황푸 군관 학교 입교(1926)
    - 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1932)
    - 김원봉을 중심으로 민족 혁명당 결성에 참여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
     내정 독립이나 참정권이나 자치를 운동하는자, 누구이냐? 너희들이 '동양 평화', '한국 독립보전' 등을 담보한 맹약이 먹도 마르지 아니하여 삼천리 강토를 집어먹던 역사를 잊었느냐? (중략) 이상의 이유에 의거하여 우리는 우리의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과 타협하려는 자나 강도 정치하에서 기생하려는 주의를 가진 자나 다 우리의 적임을 선언하노라. (중략) 우리는 '외교', '준비' 둥의 미몽을 버리고, 민중 직접 혁명의 수단을 취함을 선언하노라.
    • 한인 애국단
    조직 대한민국 임시 정부 침체 극복을 위해 김구가 상하이에서 조직(1931)
    활동 - 이봉창 : 도쿄에서 일본 국황의 마차를 향해 폭탄 투척(1932)→상하이 사변 발발(1932)
    - 윤봉길 : 상하이 홍커우 공원 의거(1932)
    의의 - 한국의 독립운동의 대외 여론 환기→대한민국 임시 정부 위상 강화
    - 중국 국민당 정부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 지원 계기 마련

    1920년대 무장 독립 전쟁과 의열 투쟁 요점 정리 끝.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