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근대 문물의 수용한국사 2022. 3. 11. 07:00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근대 문물의 수용
1. 근대 시설의 도입
교통
통신
전기전신 서울-인천·서울-의주 전신 가설(1885) 전화 궁중 안에 설치(1898) 전차 서대문-청량리 간 개통(1898) 철도 경인선(최초의 철도, 1899), 경부선, 경의선, 경원선 우편 우정국 설치(1884), 만국 우편 연맹 가입(1900) 전기 전등 가설(경복궁, 1887), 한성 전기 회사 설입(황실과 미국인 합작, 1898) 의료 광혜원(1885) 미국인 알렌 설립, 제중원으로 명칭 변경, 최초의 서양식 병원 광제원(1889) 지석영이 종두법 실시 대한의원(1907) 의료 요원 양성 자혜의원(1909) 도립 병원 세브란스병원(1904) 미국인 애비슨의 개인 병원, 제중원 승계 근대 시설 기기창(1883) 신식 무기 제조 전환국(1883) 근대식 화폐 발행 박문국(1883) 한성순보 발행 육영 공원(1886) 최초의 근대식 관립 학교, 외국어 교육 건축 독립문(1897) 독립 협회 주도, 프랑스 개선문 모방 명동 성당(1898) 서양 고딕 건축 양식 덕수궁 석조전(1910) 서양 르네상스 건축 양식 2. 언론 기관의 발달
- 신문의 발간
한성순보(1883~1884) 최초의 신문, 관보 성격, 순한문, 개화 정책, 국내외 정세 소개 한성주보(1886~1888) 상업 광고 게재(최초), 국한문 혼용 독립신문(1896~1899) 정부 지원으로 서재필이 발행, 최초의 민간 신문, 한글판과 영문판 발행, 독립 협회에서 지속 발간, 근대적 민권 의식 고취 황성신문(1898~1910) 남궁억 발행, 유림층이 주된 독자, 국한문 혼용,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제국신문(1898~1910) 이종일 발행, 서민층과 부녀자가 주된 독자, 순한글 발행 대한매일신보(1904~1910) 베델(영국인)과 양기탁이 운영, 의병 항쟁에 호의적 기사, 국채 보상 운동 지원, 순한글·국한문·영문판 발행 만세보(1906~1907) 천도교 기관지 성격, 국한문 - 일제의 탄압 : 신문지법 제정(1907)→경영난 등으로 대부분 폐간
※독립신문의 발간※
(중략) 우리가 모두 언문으로 쓰기는 알아보기 쉽도록 함이라. 남녀 상화 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오. 또 한쪽에 영문으로 기록하기는 외국 인민이 조선 사정을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혹 편벽된 말만 듣고 조선을 잘못 생각할까 보아 실상 사정을 알게 하고자 하여 영문으로 조금 기록한다.3. 근대 교육의 발달
근대 교육의 시작 원산 학사(1883, 최초의 근대식 사립 학교, 근대 학문과 무술 교육), 동문학(1883, 통역관 양성), 육영 공원(1886, 외국인 교사 초빙) 갑오개혁기 교육 입국 조서 반포(1895), 관립 학교 설입(사범 학교, 소학교, 외국어 학교 등) 광무개혁기 관립 중학교, 실업 학교, 기술 교육 기관 설립 사립 학교 설립 - 개신교 선교사 : 배재 학당, 이화 학당 등
- 애국 계몽 운동가 : 오산 학교, 대성 학교 등4. 국학·문예·종교의 변화
- 국학
국어 - 한글 보급 : 한글 신문 발행(독립신문, 제국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 국문 연구소 설치(1907), 주시경 활동역사 - 을사윽약 이후 국권 상실 위기, 한국사 관심 고조
- 신채호 : 민족주의 역사학의 연구 방향 제시(「독사신론」), 위인전(『이순신전』, 『을지문덕전』 등) 저술
- 조선 광문회 : 민족 고전 정리·간행(박은식, 최남선)- 문예
문학 - 신소설 : 이인직 『혈의 누』, 안국선 『금수회의록』 등
- 신체시 :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등
- 외국 문학 번역 : 천로 역정 등연극 원각사(1908, 서양식 극장)에서 '은세계' 등 공연 - 종교
유교 박은식 '유교 구신론' 발표 불교 한용운의 '조선 불교 유신론'(불교 개혁 주장) 천주교 고아원, 양로원 등을 통한 선교 활동 개신교 의료 및 교육 활동을 통한 선교 활동 천도교 손병희가 동학을 개칭(1905), 만세보 간행 대종교 - 나철 등이 단군 신앙을 바탕으로 창시(1909)
- 만주로 근거지를 옮겨 무장 독립 투쟁 전개근대 문물의 수용 요점 정리 끝.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제의 경제 침탈 (0) 2022.03.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제의 식민지 통치 (0) 2022.03.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외세의 경제적 침탈과 경제적 구국 운동 (0) 2022.03.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의병 항쟁과 애국 계몽 운동 (0) 2022.03.0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제의 침략과 국권 피탈 (0) 202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