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의 정치한국사 2022. 3. 1. 22:19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의 정치
1.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 정치 개혁 : 왕권 강화 목적
(1) 정치 개혁 : 세도 정치 일소, 붕당 정치 폐단 시정→당파와 신분보다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
(2) 정치 기구 개혁 : 비변사 축소(이후 폐지), 의정부(정치)와 삼군부(군사)의 부활
(3) 법전 정비 : 『대전회통』, 『육전조례』 등 각종 법전 편찬 - 삼정의 개혁 : 민생 안정 목적
진정(田政)의 개혁 은결 색출, 지방관가 토호의 토지 겸병 금지 군정(軍政)의 개혁 호초제 실시로 양반에게도 군포 징수 환곡(還穀)의 개혁 사창제 실시 - 서원 정리 및 경복궁 중건
(1) 서원 정리 : 국가 재정의 좀·백성 수탈·붕당의 근거지인 서원을 대규모로 정리, 만 동묘 철폐→서원에 딸린 전지와 노비 몰수로 국가 재정의 확충, 백성에 대한 양반과 유생의 횡포 근절→유생들의 강력한 반발 야기
(2) 경복궁 중건 : 왕실 위엄 과시 목적→많은 백성들을 토목 공사장에 징발, 막대한 공사비 소요, 원납전 강제 징수, 당백전의 남발, 양반 묘지림 벌목
※기출자료(흥선 대원군의 서원 정리)※
사족이 있는 곳마다 평민을 못살게 하지만 가장 심한 자들은 서원에 모여 있다. (중략) 흥선 대원군이 크게 노하여 "진실로 백성에게 해되는 것이 있으면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하더라도 내가 용서하지 않겠다. 하물며 서원은 우리나라 선유(先儒)를 제사한다면서 도둑의 소굴이 되었음에랴."라고 하였다. -『근세조선정감』-2.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양요
- 배경 : 천주교의 교세 확장과 서영 상품의 유입(철종 때 프랑스 선교사 국내 잠입, 포교 활동, 의주·동래 등지를 통한 서양 상품의 불법 유입)
- 흥선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
(1) 초기 입장 : 천주교에 관대(프랑스 세력을 이용하여 러시아 견제 목적)→교섭 실패 이후 탄압 정책으로 전환(천주교에 반대하는 유생의 요구도 수용)
(2) 병인박해(1866) : 9명의 프랑스 신부를 포함하여 수천 명의 천주교도 처형 -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
(1) 배경 : 병인양요 전에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통상을 요구
(2) 전개 : 평안 감사 박규수와 평양 군민들이 제너럴 셔먼호를 격침시킴 - 병인양요(1866)
배경 병인박해를 구실로 프랑스가 침략 전개 - 프랑스 로즈 제독이 이끄는 극동 함대가 양화진 침입→강화도 점령
- 한성근(문수산성), 양헌수(정족산성) 부대의 활양으로 격퇴결과 - 프랑스 군대의 철수
- 프랑스 군대의 철수 과정에서 외규장각에 보관된 의궤를 비롯한 귀중한 문화재가 약탈됨- 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 : 독일 상인 오페르트의 통상 요구→조선 정부의 거절→오페르트가 무장 병력을 동원하여 충남 덕산의 남연군 묘 도굴 시도→지역 주민의 항거로 실패→서양인에 대한 반감 고조, 통상 수교 거부 정책 강화
- 신미양요(1871)
배경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미국이 통상 요구→조선의 거부 전개 - 미국의 아시아 함대 사령관 로저스 제독이 강화도 침입→초지진, 덕진진 점령
- 어재연의 활약 및 전사(광성보 전투), 조선 수비대가 갑곶 등지에서 격퇴결과 미군 군대의 철수(어재연 부대의 '수'가지를 가져감) - 척화비 건립(1871) : 두 차례 양요 후 통상 수교 거부 의지를 나타낸 척화비를 전국 각지에 건립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근대적 개혁의 추진과 반발 (0) 2022.03.0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개항과 거양 각국과의 조약 체결 (0) 2022.03.0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 후기 문화의 새경향 (0) 2022.02.2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새로운 사회 개혁론의 대두 (0) 2022.02.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세도 정치와 사회 변혁의 움직임 (0) 2022.02.26 - 정치 개혁 : 왕권 강화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