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근대적 개혁의 추진과 반발
    한국사 2022. 3. 3. 22:1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근대적 개혁의 추진과 반발

     

    1. 개화 세력의 대두와 개화 정책의 추진

    • 개화사상의 형성
      (1) 시대적 배경 : 일본, 중국의 문호 개방
      (2) 사상적 배경 : 북학파의 실학사상 계승(박지원→박규수), 청의 양무운동, 일본의 메이지 유신 이후 문명 개화론의 영향
    • 개화파의 형성
      (1) 박규수의 지도를 받은 김옥균, 박영효, 호영식, 김윤식, 서광범, 유길준 등으로 구성
      (2) 개항을 전후하여 정치 세력으로 성장→개화파 형성→1880년대에 정계로 진출
    구분 온건 개화파(수구당, 사대당) 급진 개화파(개화당, 독립당)
    주요 인물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김옥균, 박영효, 호영식, 서광범
    성격 집권 세력, 민씨 정권과 결탁 소장파 관료
    정치적 입장 친정 사대 정책 청의 간섭과 정부의 사대 정책에 불편
    주장 점진적 개혁 급진적 개혁
    개혁 모델 청의 양무운동 일본의 메이지 유신
    • 개화 정책의 추진
      (1) 관제 개편 : 통리기무아문(개화 정책의 추진 총괄)과 부속 기구로 12사(외교, 군사, 통상, 재정 등의 개화 행정 담당) 설치
      (2) 군제 개편 : 5군영을 통합하여 무위영·장어영의 2영 체제로 개편, 별기군(신식 군대) 창설
      (3) 근대 시설의 설치 : 기기창(1883), 박문국(1883), 전환국(1883)
      (4) 해외 시찰단 파견
    수신사 - 일본의 발전상 및 세계 정세 파악이 목적
    - 김기수(1876, 1차), 김홍집(1880, 2차→『조선책략』수입)
    조사 시찰단
    (1881)
    - 일본에 박정양, 홍영식 등 수행원 78명 파견
    - 비밀리에 파견
    - 3개월간 일본의 발전상 견문→개화 정책의 추진 뒷받침
    영선사
    (1881)
    - 청에 김윤식 등 학생, 기술자 38명 파견
    - 무기 제조법, 근대적 군사 훈련 습득
    - 지식과 재정 부족, 임오군란으로 1년만에 귀국→기기창 설치
    보빙사
    (1883)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1882) 직후 미국 공사 내한에 대한 답방
    - 민영익, 홍영식 등 파견→최초로 서양에 파견된 사절단
    ※기출자료(조선책략)※
     조선이라는 땅덩어리는 실로 아시아의 요충을 차지하고 있어 그 형세가 반드시 다툼을 불러올 것이다. (중략) 러시아를 막을 수 있는 조선의 책략은 무엇인가? 오직 중국과 친하며 일본과 결속하고 미국과 연합하여 자강을 도모할 따름이다.

    2. 위정척사 운동

    • 배경 : 문호 개방 이후 외세의 침투, 개화사상 대두,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
    • 위정척사의 의미
      (1) 위정(衛正) : 정학과 정도를 지킴→성리학 수호
      (2) 척사(斥邪) : 사학과 이단을 물리침→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 배격, 천주교와 서양 문화 배격
    • 전개 과정
      (1) 1860년대 : 이항로, 기정진 등 주도
       - 상황 : 열강의 통상 요구, 병인양요, 신미양요
       - 내용 : 통상 반대 운동, 척화 주전론→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 강력 지지
      (2) 1870년대 : 유인석, 최익현 등 주도
       - 상황 : 문호 개방 전후, 강화도 조약
       - 내용 : 왜양일체론, 개항 불가론→개항 반대 운동
      (3) 1880년대 : 이만손, 홍재학 등 주도
       - 상황 : 개화 정책 추진, 『조선책략』의 유포
       - 내용 : 『조선책략』 유포에 반발, 영남 만인소개화 반대, 서양 열강과의 수교 반대
      (4) 1890년대 : 유인석, 이소웅 등 주도
       - 상황 : 일본의 침략 가열(단발령 강요 등), 을미사변
       - 내용 : 항일 의병 운동 전개
    ※기출자료(만인소)※
     신들은 모두 멀리 떨어진 영남에 있는 까닭에 (중략) 유신(維新)의 정치를 도운 적이 없습니다. (중략) 그러나 수신사 김홍집이 가지고 온 황준헌(黃遵憲)의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이 유포된 것을 보고, 저도 모르게 머리카락이 곤두서고 가슴이 떨리며 이어 통곡하면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만인소-
     
    • 성격 및 의의
      (1) 반침략·반외세 운동 : 외세의 정치, 경제적 침략에 대한 저항
      (2) 근대 사회로의 발전에 장애 : 봉건적 지배 체제 고수, 정부의 개화 정책 반대→역사 발전 지체

    근대적 개혁의 추진과 반발 요점 정리 끝.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