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새로운 사회 개혁론의 대두
    한국사 2022. 2. 27. 16:27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새로운 사회 개혁론의 대두

     

    1. 성리학의 변화

    • 성리학의 절대화 :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대의명분 강조→주자 중심의 성리학 이외의 사상 배척
    • 성리학에 대한 비판 : 운휴, 박세당 등 유교 경전에 대한 독자적 해석→사문난적으로 몰림
    • 호락논쟁 : 충청도 지역의 호론과 서울·경기 지방의 낙론 사이의 논쟁
    호론 인물성이론(인간과 사물의 본성은 다르다)→위정척사 사상에 영향
    낙론 인물성동론(인간과 사물의 본성은 같다)→북학파와 개화사상에 영향
    • 양명학의 수용 : 성리학의 절대화와 교조화 비판, 실천성(지행합일) 강조→17세기 후반 일부 소론 학자가 연구→18세기 초 정제두의 연구, 강화학파 형성

    2. 실학의 발달

    • 배경 : 성리학의 절대화에 대한 반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모순 대두, 청의 고증학과 서양 과학 기술의 영향
    • 중농학파(경세치용 학파)
      (1) 주장 : 농촌 사회의 안정을 위한 토지 문제 해결 등 주장
      (2) 대표적 인물
    유형원 - 『반계수록』 저술, 균전론(신분에 따른 토지의 차등 분배) 주장
    이익 - 『성호사설』 저술, 한전론(토지의 하한선을 영업전으로 설정하여 매매 금지) 주장
    - 나라를 좀먹는 여섯 가지 폐단 지적
    - 고리대와 화폐의 폐단 비판
    - 붕당의 폐해 비판
    정약용 - 여전론(공동 노동·생산 후 노동량에 따른 분배), 정전론 주장
    - 『여유당전서』, 『목민심서』(지방 행정 개혁), 『경세유표』(중앙 행정 개혁), 『흠흠신서』 등 저술
    - 과학 기술에 관심→배다리 및 거중기 설계
    • 중상 학파(이용후생 학파, 북학파)
      (1) 주장 :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 혁신, 청 문물의 수용 주장
      (2) 대표적 인물
    유수원 『우서』 저술, 상공업 징흥과 기술 혁신 주장,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 주장
    홍대용 『임하경륜』, 『의산문답』 저술, 혼천의 제작, 문벌제도 철폐 강조, 지전설 주장
    박지원 - 『열하일기』 저술, 수레·선박 이용 주장, 서양 문물 도입 주장, 화폐 유통 확대 강조
    - 『양반전』, 『허생전』 등의 한문 소설 저술→양반의 위선과 무능 비판
    박제가 『북학의』 저술, 청의 문물 수용 주장, 절약보다 소비 권장(소비를 우물에 비유), 수레와 선방의 이용 주장, 상공업 육성 강조
    ※기출자료(박지원의 수레 이용 주장)※
     이 지방에서 천한 것이 저 지방에서는 귀하고, 이름은 들었는데 물건을 볼 수 없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운반해 올 힘이 없기 때문이다. 수천 리에 불과한 좁은 나라에서 백성의 생활이 이토록 가난한 것은 수레가 다니지 않기 때문이다. -『열하일기』-
    ※기출자료(박제가의 소비 권장)※
     재물은 대체로 우물과 같다. 퍼내면 차고, 버려두면 말라 버린다. 그로므로 비단옷을 입지 않아서 나라에 비단 짜는 사람이 없게 되면 여자들이 길쌈이 쇠퇴하고, 쭈구러진 그릇을 싫어하지 않고 기교를 숭상하지 않아서 공장(工匠)이 숙련되지 못하면 기예가 망하게 된다. -『북학의』-

    3. 국학의 발달

    • 역사학
    이익 중국 중심의 역사관 비판→민족의식 성장
    안정복 - 이익의 역사 인식 계승
    - 『동사강목』 저술 : 우리 역사의 독자적 정통론 체계화, 삼한 정통론 강조
    이긍익 『연려실기술』 저술 : 조선의 정치를 실증적·객관적으로 정리
    한치윤 『해동역사』 저술, 중국과 일본의 자료 참고
    이종휘 『동사』 저술 고대사 연구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한반도 중심의 사관 극복
    유득공 『발해고』 저술 : 남북국이라는 용어 사용
    김정희 『금석과안록』 저술,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힘
    • 지리서·지도
      (1) 지리서 : 한백겸의 『동국지리지』, 정약용의 『아방강역고』, 이중환의 『택리지』
      (2) 지도
    정상기의 동국지도 최초의 100리 척 사용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0리마다 눈금 표시, 목판으로 제작
    • 우리말 연구 : 신경준의 『훈민정음운해』, 유희의 『언문지』
    • 기타
      (1) 정약전 : 흑산도 유배 중 『자산어보』 저술
      (2) 홍봉한 : 역대 문물을 정리한 『동국 문헌 비고』 편찬

    새로운 사회 개혁론의 대두 요점 정리 끝.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