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민족 유일당 운동과 사회적 민족 운동한국사 2022. 3. 20. 11:06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민족 유일당 운동과 사회적 민족 운동
1. 민족 유일당 운동
1-1. 민족 유일당 운동의 전개
- 배경
국외 중국의 제1차 국공 합작, 한국 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 창립(베이징) 등 국내 -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단결에 대한 공감대 형성(6·10 만세 운동의 영향)
- 자치론의 대두 : 1920년대 중반 일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자치권과 참정권을 얻자는 주장(이광수 등의 타협적 민족주의 세력)→민족주의 진영의 분열(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의 반발)
- 사회주의 진영의 세력 약화 : 일제의 치안 유지법 제정(1925)→사회주의 운동 탄압※자치론의 대두※
왜 지금의 조선 민족에서는 정치적 생활이 없나? 일본이 한국을 병합한 이래로 조선인에게는 모든 정치 활동이 금지한 것이 에일의 원천이요. (중략) 우리는 조선 내에서 허락되는 범위 내에서 일대 정치적 결사를 조직하여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 이광수, 「민족적 경륜」 -- 전개
조선 민흥회 창립
(1926)일부 사회주의자들과 물산 장려회를 주도하였던 민족주의계 인사들이 손잡고 결성→신간회 창립의 선구 역할 정우회 선언
(1926)사회주의 계열의 단체인 정우회가 민족주의 세력과의 제휴 필요성을 강조한 선언→신간회 창립의 중요한 계기 마련 ※신간회 창립 배경※
- 이광수, 최린 등이 자치론을 주장하며 일제에 타협적인 태도를 보이자,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은 이를 비판하며 사회주의 세력과 연대하여 민족 운동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 사회주의 계열의 정우회는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의 제휴 등을 내용으로 하는 선언문을 발표하였다.1-2. 신간회(1927~1931)
- 결성 : 비타협적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세력이 연대하여 합법적인 단체로 결성
- 강령 : 민족의 정치적·경제적 각성 촉진, 민족의 단결, 기회주의 배격
- 조직 확대 및 활동
확대 각지에 지회 설치, 일본과 만주로 조직 확대 활동 - 강연회·연설회 개최, 소작 쟁의·노동 쟁의와 동맹 휴학 지원, 청년 운동과 여성 운동 및 형평과 연계
-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조사단 파견→진상 보고를 위한 민중 운동 계획- 해소 : 일제의 탄압, 새 지도부가 타협론자와의 협력 추구, 사회주의자들이 협동 전선 포기→전체 회의에서 해소 결정(1931)
- 의의 : 일제 강점기 최대의 합법 단체, 최대의 민족 협동 전선 단체
2. 사회적 민족 운동
- 농민 운동
배경 일제의 농민 수탈→소작동의 증가, 소작료의 고액화 단체 조선 농민 총동맹(1927) 등 대표 정의 전남 신안 암태도 소작 쟁의(1923)→소작료 인하, 소작권 이전 반대 등 요구 변화 1920년대 생존권 투쟁 중심에서 1930년대 비합법적 혁명적 농민 조합 중심으로 전개(정치 투쟁) - 노동 운동
배경 한국인 노동자의 저임금, 열악한 노동 환경 단체 조선 노동 공제회(1920), 조선 노동 총동맹(1927) 등 대표 정의 원산 노동자 총파업(1929) : 저임금 반대, 노동 조건 개선 등 요구→국외 노동 단체의 후원과 격려 변화 1920년대 생존권 투쟁 중심에서 1930년대 비합법적 혁명적 노동조합의 형태로 전개(정치 투쟁) - 소년 운동
배경 인격체로서 어린이를 대우하자는 의식 형성 단체 천도교 소년회(1920)→방정환 주도 변화 어린이날 제정, 잡지 『어린이』 간행→전국적 조직체인 조선 소년 연합회 결성(1927) - 여성 운동
배경 여성 노동자 등 심각한 여성 인권 문제 발생 단체 - 조선 여자 교육회, 조선 여자 기독교 청년회 등
- 근우회(1927) : 여성계의 민족 협동 전선 단체활동 - 여성의 계몽과 교육 주장(강연회 등)
- 여성 노동자와 농민 운동 지원※근우회※
- 창립 : 1927년 5월 27일
- 창립 이념과 활동 방향 : 여성의 단결과 지위 향상
- 주요 활동 : 문맹 퇴치를 위한 부인 야학, 여성 기술 교육을 위한 강습회, 여성 의식 향상을 위한 강연회와 토론회- 형평 운동
배경 신분제 법적 폐지 이후에도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지속 단체 조선 형평사(진주, 1923)→전국적인 조직으로 확대 활동 백정 인권 운동(사회적 차별 반대 운동)→항일 민족 운동으로 발전 민족 유일당 운동과 사회적 민족 운동 요점 정리 끝.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8·15 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 노력 (0) 2022.03.2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민족 문화 수호 운동 (0) 2022.03.2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실력 양성 운동과 만세 운동 (0) 2022.03.1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930~40년대 무장 독립 전쟁 (0) 2022.03.1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920년대 무장 독립 전쟁과 의열 투쟁 (0) 202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