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의 경제·사회·학문·종교한국사 2022. 1. 25. 18:43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삼국의 경제·사회·학문·종교
1. 삼국의 경제
- 조세 제도 : 조세(곡물과 포 징수), 공물(특산물 부과), 역(15세 이상 남자 동원)
- 농업 : 휴한 농경
(1) 생산력 증대 노력 : 철제 농기구 보급, 우경 장려, 황무지 개간, 저수지 축조
(2) 백성 생활 안정 : 흉년에 곡식 배급, 진대법(고구려 고국천왕 때 실시한 빈민 구제 제도, 3~7월에 관청의 곡식을 꾸어 주었다가 추수한 뒤 갚도록 함) 실시(고구려 고국천왕)※기출자료 : 진대법※
겨울 10월에 왕(고국천왕)이 질산 남쪽에서 사냥을 하다가……흉년이 들어 부모를 섬길 수 없다며 우는 사람을 보고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렸다. "아아! 내가 백성의 부모가 되어 백성들을 이 지경에 이르게 했으니, 이는 나의 죄다. ……매년 봄 3월부터 가을 7월까지 관의 곡식을 내어 ……빌려주었다가 겨울 10월에 갚게 하는 것을 일정한 법으로 삼도록 하라."
「삼국사기」 - 수공업과 상업 : 관청에서 필요한 물품 생산, 시장 설치(신라의 동시·동시전, 지증왕 설치)
- 귀족과 농민의 경제생활
귀족 자기 소유의 토지, 국가에서 준 녹읍·식읍(노동력 징발 가능) 등을 기반으로 생활→대토지 소유, 노비 등을 이용하여 경작 농민 자기 소유의 토지를 경작하거나 부유한 자의 토지를 빌려 경작
2. 삼국의 사회
- 신분 제도의 확립 : 고대 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엄격한 위계질서 확립
(1) 귀족 : 왕족을 비롯한 각 부의 지배 세력으로 구성, 사회·경제적 특권 세습, 귀족회의에서 국가 중대사 결정→제가 회의(고구려), 정사암 회의(백제), 화백 회의(신라)
(2) 평민 : 조세 납부, 군역 담당
(3) 노비 : 전쟁 포로, 범죄를 지었을 경우, 고리대를 갚지 못한 경우 노비로 전락(관청·귀족 등에 예속) - 삼국의 사회 모습
고구려 - 상무적이고 씩씩한 사회 기풍
- 형벌 : 반역자·전쟁에서 항복하거나 패배한 자는 사형, 도둑질한 자는 12배로 배상(1 책 12 법)
- 혼인 풍속 : 지배층은 형사 취수제(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가 혼인하는 풍습), 서옥제, 평민은 자유 교제로 혼인백제 - 특성 : 언어·풍속·의복·상무적 기풍이 고구려와 비슷, 일찍부터 중국의 선진 문화 수용
- 엄격한 형법 : 고구려와 비슷(반역자·전쟁에서 퇴각한 군사·살인자는 사형), 도둑질한 자는 귀양 보내고 2배 배상, 뇌물 수수나 공금 횡령은 3배 배상하고 종신 금고형
- 지배층 : 왕족인 부여씨와 8성 귀족→능숙한 한문 구사, 오락(투호, 바둑, 장기)신라 - 특성 : 중앙 집권 국가로의 발전이 늦음→초기의 전통을 오랫동안 유지(화백 회의, 화랑도)
- 화백 회의 : 부족 대표 회의의 전통 계승→왕권 견제
- 화랑도 : 원시 사회의 청소년 집단에서 기원, 진흥왕 때 국가 조직으로 확대(원광 법사의 세속 5계),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 조절 기능→삼국 통일에 기여(김유신, 관창 등)
- 골품제 : 엄격한 폐쇄적 신분제, 진골 귀족의 특권 보장
3. 삼국의 학문과 종교
- 학문의 발달
교육 - 고구려 : 태학(수도에 설치, 유교 경전·역사서 교육), 경당(지방에 설치, 한학·무술 교육 병행)
- 백제 : 5경 박사, 역 박사, 의박사 → 유교 경전, 기술학 교육
- 신라 : 임신서기석(청소년들의 유교 경전 학습)역사서 - 고구려 : 「유기」→이문진의 「신집」(영양왕)
- 백제 : 고흥의 「서기」(근초고왕)
- 신라 : 거칠부의 「국사」(진흥왕) - 불교의 수용
(1) 시기 : 4세기, 중앙 집권 체제의 확립과 지방 세력을 통합하는 시기에 수용
(2) 역할 : 국가 정신 확립, 왕권 강화의 사상적 뒷받침, 선진 문화 수용에 기여
(3) 삼국의 불교 수용고구려 소수림왕 때 전진에서 온 순도를 통해 수용(372) 백제 침류왕 때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를 통해 수용(384) 신라 - 고구려에서 민간전승→귀족들의 반대로 공인되지 못함→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인(527)
- 왕권과 밀착하여 성행→불교식 왕명(법흥왕~진덕 여왕)기출자료(이차돈의 순교)
이차돈이 아뢰기를. "바라건대 신의 목을 베어 여러 사람들의 논의를 진정시키십시오."라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본래 도를 일으키고자 함인데 죄가 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은 옳지 않다."라고 하였다. "만약 도가 행해질 수 있다면 신은 비록 죽어도 여한이 없겠습니다."라고 (이차돈이) 대답하였다. 「삼국사기」 - 도교(불로장생과 현세의 구복 추구)
(1) 발달 : 산천 숭배나 신선 사상과 결합, 귀족 사회 중심으로 발달, 고구려 연개소문이 장려함
(2) 대표적인 유물 : 백제의 산수무늬 벽돌, 백제 금동 대향로, 백제의 사택 지적 비, 고구려의 사신도
삼국의 경제·사회·학문·종교 요점 정리 끝.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의 문화유산 (0) 2022.01.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삼국의 고분과 과학 기술 (0) 2022.01.2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0) 2022.01.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가야의 성립과 발전 / 삼국의 통치 체제 (0) 2022.01.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신라의 성립과 발전 (0) 202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