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한국사 2022. 1. 24. 13:01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1. 고구려의 수 · 당 침입 격퇴

    • 6~7세기 동북아시아 정세의 변화
      (1) 신라의 고립 : 신라가 한강 유역 차지(6세기 중엽)→백제와 고구려의 공격으로 한반도에서 고립→신라는 수에 도움 요청
      (2) 수의 중국 통일 : 수가 중국의 남북조를 통일(589)하고 세력 확대
      (3) 고구려의 대응 : 수에 위협을 느낀 고구려는 북방 유목 민족인 돌궐과 연합하여 대응, 백제와 연합하여 신라에 대항
      (4) 백제의 대응 : 고구려 · 왜와 연합하여 신라의 낙동강 유역 공격
    • 수의 침입과 고구려의 항쟁
      고구려의 수 견제 고구려의 요서 지방을 선제공격하여 수의 침략을 막고자 함
      수 문제의 침입 수 문제가 30만 대군으로 고구려 침략→실패
      수 양제의 침입 수 양제가 113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여 고구려의 요동성 공격→30만의 별동대 파견하여 평양성 직접 공격→살수 대첩(612, 고구려 을지문덕이 수의 별동대를 유인하는 작전을 펴 큰 승리를 거둠)
      수의 멸망 고구려 원정 실패로 국력 소모→반란으로 멸망→당 건국(618)
    • 당의 침입과 고구려의 항쟁
      당과의 관계 수를 멸망시킨 당은 건국 초기에 고구려와 친선 관계 유지→당 태종 즉위 이후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추진하여 고구려 압박
      천리장성 축조 고구려가 당의 침략에 대비하여 천리장성 축조
      연개소문의 정변 연개소문이 천리장성 축조를 감독하여 요동 지역의 군사력 장악→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제거하고 보장왕을 왕위에 올림→스스로 대막리지가 되어 실권 장악 후 강경한 대외 정책 추진, 백제와 연합하여 신라 공격
      당 태종의 침입 당 태종이 연개소문의 정변을 구실로 고구려 침략→요동성, 비사성 등 함락→안시성 싸움에서 당 패배(645)→계속된 당의 침입도 모두 실패
      고구려의 승리의 의의 동아시아의 패권을 차지하려는 수 · 당의 야욕 격퇴
      중국 세력으로부터 한민족을 지켜낸 방파제 역할
      고구려 승리의 원동력 : 고구려의 용맹한 군사력과 뛰어난 전술, 높은 성곽 축조 기술

    2. 신라의 삼국 통일

     

    •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백제 - 나 · 당 연합 : 신라는 고구려와 동맹 시도(김춘추) 실패→당과 연합군 편성, 백제 공격
      - 백제 멸망(500) : 나 · 당 연합군의 백제 공격→당군이 금강 하구로 침입, 김유신의 신라군이 계백의 백제군과 황산벌 전투에서 승리→사비성 함락
      고구려 - 고구려의 국력 쇠퇴 : 수 · 당 전쟁으로 국력 소모, 연개소문이 죽은 후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
      - 고구려 멸망(668) : 나 · 당 연합군의 고구려 공격→평양성 함락
    •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 운동
      백제 복신, 흑치상지, 도침은 왕자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주류성과 임존성을 거점으로 저항→왜의 수군이 백제 부흥 군을 지원하기 위해 백강 입구까지 진출→백강 전투 패배
      고구려
      (신라는 당 세력을 축출하기 위해 고구려 부흥 운동 지원)
      검모잠과 고연무가 안승(신라에 의해 보덕국 왕으로 임명) 추대→고구려 유민을 모아 한성(황해도 재령)과 오골성을 근거지로 부흥 운동 전개→실패
    • 신라의 삼국 통일
      (1)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 당이 웅진 도독부(백제), 안동 도호부(고구려), 계림 도독부(신라) 설치→한반도 전체의 지배권을 확보하려 함→신라는 고구려 · 백제 유민과 연합, 당과 정면 대결
      (2) 나 · 당 연합(668~676)
      신라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 후원, 백제 땅에 대한 지배권 장악
      당군 격파 매소성 전투에서 당의 20만 대군 격파, 기벌포 해전(금강 하구)에서 당의 수군 섬멸→평양에 있던 안동 도호부를 요동성으로 축출
      (3) 의의와 한계
      의의 당의 세력 축출, 고구려 · 백제 문화 수용→민족 문화 발전의 토대 마련
      한계 외세 이용, 대동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경계 이남의 땅 차지
      ※기출자료(나 · 당 전쟁)
      - 적장 이근행이 군사 20만 명을 이끌고 매소성에 진을 쳤다. 우리 군사가 이를 격퇴하여 전마(戰馬) 3만 380 필과 많은 병기를 얻었다. (매소성 전투)
      - 사찬 시득이 수군을 거느리고 소부리주 기벌포에서 걸인귀가 이끄는 군대와 싸웠는데 연이어 패배하였다. 그러나 이후 크고 작은 22번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4천여 명을 죽였다. (기벌포 해전)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요점 정리 끝.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