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 2022. 1. 20. 07:00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1. 고구려의 성장
      (1) 배경
      ① 발전의 계기 : 주몽(동명성왕) 즉위(기원전 37) 후 발전의 기틀 마련
      ② 영토 확장 : 고조선 멸망 후 설치된 중국 군현에 맞서 싸우며 세력 확대
      ③ 천도 : 수도를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김.(고구려의 첫 도읍지는 졸본이었으며, 1세기 초 유리왕이 물산이 풍부한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김.)
      (2) 성장
      태조왕
      (1세기 후반)
      - 삼국 중 가장 먼저 중앙 집권의 기틀 마련
      - 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세습 확립
      - 한 군현과 투쟁 요동 진출 시도, 옥저 복속
      - 5부 체제로 발전
      고국천왕
      (2세기 후반)
      - 부족적 전통의 5부를 행정적 성격의 5부로 개편, 왕위 계승(형제 상속→부자 상속), 족장을 중앙 귀족으로 편입→왕권 강화, 중앙 집권화 진전
      - 을파소의 건의로 진대법 실시(봄에 관청의 곡식을 빌려 주었다가 가을에 추수한 뒤 갚도록 한 빈민 구제 제도)
      (3) 위나라의 침입 : 3세기 중엽 동천왕 때 위의 관구검 침입→고구려의 세력 위축
      (4) 발전 과정
      미천왕
      (4세기 초)
      - 서인평 점령(중국 대륙과 낙랑군·대방군(한 군현)과의 연결고리 제거
      - 낙랑 축출→대동강 이남 지역까지 확보
      - 요동으로 세력 확대→전연과 대립
      고국원왕
      (4세기 중엽)
      - 전연의 침략으로 수도 국내성 함락
      - 백제 근초고왕의 평양성 공격고국원왕의 전사(국가적 위기)
      소수림왕
      (4세기 후반)
      - 전진으로부터 불교 수용 및 공인(372)
      - 태학(유학 교육 기관) 설치하여 인재 양성(고구려가 수도에 세운 최고 교육 기관으로 귀족 자제들에게 유교 경전과 문학·문예 등을 가르침.)
      - 율령 반포→중앙 집권 체제 강화
    2. 고구려의 영토 확장
      (1) 광개토 대왕의 영토 확장
      ① 배경 : 중국의 분열(위 · 진 · 남북조 시대), 소수림왕의 체제 정비
      ② 영토 확장 : 남쪽으로 백제 공격(한강 이북 지역 차지),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신라에 대한 영향력 확대, 금관가야 쇠퇴, 가야지역까지 진출), 만주 지역의 후연(선비족) · 부여 · 숙신 정복
      ③ 연호 사용 : '영락'이라는 연호 사용→고구려의 자신감 표현  
      ④ 광개토 대왕릉비 : 아들 장수왕이 광개토 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
      ※기출자료(광개토 대왕의 신라 구원)
      18세에 왕위에 올라 영락 대왕이라 하였다. 영락 10년(400)에 왕이 보병과 기병 도합 5만 명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남거성을 거쳐 신라성에 이르니, 그곳에 왜군이 가득하였다. 고구려군이 도착하자 왜적이 퇴각하였다.(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고 가야까지 진출함.)
      (2) 장수왕의 남진 정책
      평양 천도(427) : 국내성의 귀족을 약화시키고자 남진 정책 추진→ 신사와 백제는 군사 동맹(나 · 제 동맹)으로 고구려에 저항
      ② 백제의 수도 한성 함락{475년, 백제 개로왕 전사, 웅진(공주) 천도} : 한강 유역 차지→삼국 항쟁의 주도권 장악
      ③ 확장된 영역 : 아산만에서 경북 동해안을 연결하는 지역→충주(중원) 고구려비(장수왕이 백제의 수도 한성을 점령하고 한반도의 중부지역을 장악한 후 세운 척경비)에서 확인됨.
      ※기출자료 : 충주(중원) 고구려비
      - 한반도에 있는 유일한 고구려의 비석이다.
      - 5세기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려준다.
      - 고모루성, 대사자 등 당시의 지명과 관직명도 기록되어 있다.
      (3) 문자왕(문자명왕) : 부여 병합(부여 멸망, 494), 고구려 최대 영토 확보
      (4) 독자적인 세계관 확립
      배경 고구려는 5세기에 만주와 한반도 중부에 이르는 강대국으로 성장
      세계관 왕을 '태왕'이라 부르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고구려를 천하의 중심으로 여기며 중국과 대등한 나라라는 자부심을 가짐.
      (5) 6세기 정세 : 한강 유역을 신라와 백제의 공격으로 빼앗김→영토 회복을 위한 온달의 활동(온달과 평강 공주 이야기의 소재가 됨)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