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 2022. 1. 18. 07:0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요점정리

     

    1.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1) 고조선의 성립
      ① 건국 :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이 아사달(요하 유역으로 추정)을 도읍으로 건국
      ② 의의 :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립된 한반도 최초의 국가
      ③ 단군왕검의 건국 이야기 : 선민사상, 농경 사회, 홍익인간의 건국 이념, 토테미즘, 제정일치 사회

      고조선 건국신화 (삼국유사)※
      고기에 이런 말이 있다. 옛날 환인의 아늘 환웅(하늘의 자손임을 내세운 선민사상을 가진 유이민의 이주)이 천부인 3개와 3,000의 무리를 이끌고 신단수 밑에 내려왔는데 이곳을 신시라 하였다. 그는 풍백, 우사, 운사(농경 사회)로 하여금 인간의 360여 가지의 일을 주관하게 하였는데, 그중에서도 곡식(농경 사회), 생명, 질병, 형벌(형벌의 존재), 선악 등 다섯 가지 일이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이로써 인간 세상을 교화시키고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였다.(홍익인간의 건국 이념) 이때 곰과 호랑이{곰과 호랑이를 각각 수호신으로 삼은 토착 부족(토테미즘)의 존재}가 사람이 되기를 원하므로 환웅은 쑥과 마늘을 주고 이것을 먹으면서 100일간 빝을 보지 않는다면 사람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곰은 금기를 지켜 21일 만에 여자로 태어났고 환웅과 혼인(부족 간의 연합에서 호랑이 부족은 배제되고 환웅 부족과 곰 부족이 결합)하여 아들을 낳았다. 이가 곧 단군왕검(단군=제사장, 왕검= 정치적 군장을 겸하는 제정일치의 지배자)이다.

      (2) 고조선의 발전
      ① 문화 범위 : 중국 랴오닝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한반도 북부까지 세력 확대.
      ② 왕위 세습 : 부왕, 준왕과 같은 강력한 왕(기원전 3세기)이 등장하여 왕위 세습.
      ③ 관직 설치 :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 설치.
      ④ 연나라와 대립 : 왕을 칭하며 중국 전국 시대의 연나라에 맞설 정도로 성장 → 기원전 3세기 초 연나라 장수 진개의 침략(이때 중심지가 요령에서 평양으로 옮겨졌다는 것이 현재의 통설임)을 받아 서쪽의 넓은 영토를 상실하고 수도를 왕검성으로 옮김.

      (3) 위만 조선의 성립과 발전
      유이민 이주 중국의 진 · 한 교체기(기원전 3세기 말)에 위만이 무리 1,000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이주, 이들에 의해 선진 철기 문화가 유입됨.
      위만 조선의 성립
      (기원전 194)
      준왕의 신임을 받은 위만이 서쪽 변경 지역 수비 담당. → 세력을 넓힌 위만이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됨.(기원전 194) → 준왕은 남쪽 진국으로 이동.
      위만 조선의 발전 - 정복 활동으로 영토 확장.
      - 중국의 한(漢)과 남방의 진(辰) 사이에서 중계 무역으로 경제적 이득 독점. (한 무제 침략의 원인이 됨)
      - 철기 문화릐 본격적 수입.
      (4) 위만 조선의 멸망
      ① 배경 : 위만 조선이 남방의 진과 중국의 한이 직접 교역하는 것을 막고 중계 무역의 이득 독점, 흉노와 연결하여 한나라 압박.
      ② 멸망(기원전 108) : 한 무제의 고조선 침입 → 우거왕이 1년간 항전하였지만 지배층의 내분(조선상 역계경이 무리를 이끌고 남쪽의 진국으로 망명)으로 왕검성이 함락되면서 멸망.
      ③ 한 군현 설치 : 한이 4개의 군현(낙랑, 진번, 임둔, 현도군)을 설치, 법이 60여 조로 증가.

    2. 고조선의 사회

      (1) 8조법(8조목 가운데 세 가지만 전해짐)으로 보는 고조선의 사회상 : 노동력 중시, 농업 중심의 사회, 형벌 존재, 사유 재산 중시, 계급 분화(노비), 화폐 사용 등

      ※「한서」 지리지※
      (고조선에서는) 백성들에게 금하는 법 8조가 있었다.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죽이고,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는다.(노동력 중시, 농업 중심의 사회, 형벌 존재) 
      도둑질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 용서받고자 하는 자는 한 사람마다 50만 전(화폐 사용)을 내야 한다.
      비록 용서를 받아 보통 백성이 되어도 풍속에 역시 그들은 부끄러움을 씻지 못하여 결혼을 하고자 하여도 짝을 구할 수 없다. 이러해서 백성들은 도둑딜을 하지 않아 대문을 닫고 사는 일이 없었다. 여자들은 모두 정조를 지키고 신용이 있어 음란하고 편벽된 짓을 하지 않았다.{간음을 금하는 한 가지 조항이 더 있었을 것으로 추정, 가부장적 사회(남성 중심)}
      (2) 고조선 사회의 변화 : 한 군현 설치 후 법 조항이 60여 조로 증가 → 풍속이 각박해졌음을 의미.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