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 전기 통치 체제의 정비 (2)한국사 2022. 2. 15. 13:28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조선 전기 통치 체제의 정비 (2)
1. 교통·통신 제도
- 교통 제도
(1) 역원제 : 관청의 공문 및 공물 수송을 위한 제도, 마패 소지자에게 역마 제공
(2) 조운제 : 지방(조창)에서 거둔 조세(특히 세곡)를 서울(경창)로 운반하기 위한 목적※기출자료(조운제)※
조운은 중요한 나랏일 가운데 하나입니다. 영남과 호남의 세선(稅船)이 서해의 안흥량에 이르면 물이 얕아서 돌에 부딪혀 부서지니, 이곳은 호서 바다에서 배가 지나가기 가장 어려운 곳입니다. 이곳에 있는 한 포구에 창고를 설치하여 다른 배로 옮겨 싣는다면 파선을 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증보 문헌 비고』- - 통신 제도 : 봉수제 실시(군사적 위급 사태 알림)
2. 관리 등용 및 인사 제도
- 과거 제도
(1) 시험의 종류문과 - 문관 선발을 위한 시험, 생진과(소과)와 문과(대과)로 구성
- 생진과(소과) : 생원시, 진사시→성균관 입락 또는 하급 관리로 진출
- 문과(대과) : 초시→복시→전시의 3단계로 실시, 문관 선발(33명)무과 - 무관 선발을 위한 시험
- 문과와 같은 절차로 선발(28명)잡과 - 역과(통역), 율과(법률), 의과(의학), 음양과(지리) 등 기술관 선발을 위한 시험→3년마다 선발
- 해당 관청에서 시행
- 주로 향리의 자제나 상민이 응시
(3) 응시 자격 : 원칙적으로 양인이면 누구나 응시 가능 - 기타 관리 등용 제도
(1) 천거 : 고관의 추천으로 관직에 등용, 중종 때 조광조의 건의로 현량과 실시
(2) 취재 : 간단한 시험을 통해 하급 실무직 선발
(3) 음서- 공신이나 고위 관직(2품 이상)의 자제 대상
- 과거에 합격하지 않으면 고관 진출 어려움→고려 시대보다 대상 축소, 영향력 감소 - 관리 인사 제도
(1) 상피제 : 친인척과 같은 부서에 근무하거나 출신 지역의 지방관으로 파견되지 못하도록 한 제도→권력의 집중과 부정 방지가 목적
(2) 서경 : 5품 이하의 관리 임용 시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동의해 주는 절차→인사의 공정성 확보
3. 교육 제도(기본적으로 유학을 교육하는 기능)
서당 초등 사립 교육 기관 4부 학당 한성에 설립괸 관립 중등 교육 기관(중·동·남·서학) 향교 - 지방에 설립된 관립 중등 교육 기관
- 교육과 제사의 기능
- 전국의 부·목·군·현에 하나씩 설립
- 중앙에서 교수, 훈도를 파견성균관 - 조선의 최고 교육 기관(관립)
- 교육과 제사의 기능
- 원칙적으로 소과에 합격한 생원이나 진사가 입학※기출자료(향교)※
향교는 조선 시대 지방의 교육 기관이며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심으로 두 공간이 나누어졌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성현의 위패를 봉인하고 제향하는 곳이며, 명륜당은 유교 경전 등을 강의하는 곳이다.※기출자료(성균관)※
성균관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관리를 양성하였고,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학생들을 교육하는 명륜당 등으로 이루어졌다. 영조 때에는 입구에 탕평비를 세웠다.4. 경연 제도
- 의미 : 임금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론하는 일
- 특징
(1) 고려 때 처음 시행→연산군 때 일시적으로 중단
(2) 유교의 경전과 역사서를 교재로 사용
(3) 왕과 신하가 학문과 정책을 토론
조선 전기 통치 체제의 정비 (2) 요점 정리 끝.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 전기의 사회와 성리학의 발달 (0) 2022.02.1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 전기의 경제 (0) 2022.02.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의 성립 (0) 2022.02.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 전기 통치 체제의 정비 (1) (0) 2022.02.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의 기틀 마련 (0) 2022.02.12 - 교통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