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독도와 간도, 지역사
    한국사 2022. 3. 28. 21:23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독도와 간도, 지역사

     

    1. 독도

    시기 내용
    512
    (지증왕 13)
    신라 이사부가 우산국 정복 후, 울릉도(독도)가 신라에 귀속
    1693~1699
    (숙종 19~24)
    동래 어부 안용복이 울릉도 근해에서 왜인을 발견하고 퇴거시킴→안용복이 일본으로 가서 항의→일본 에도 막부가 일본인의 울릉도와 독도 불법 출항을 금지하겠다는 문서를 보냄
    1900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 공포
    1. 울릉도를 울도로 고쳐 부르고, 강원도 울진현에 속해 있던 울릉도와 그 부속 도서를 고쳐서 하나의 독립된 군으로 설치한다.
    2. 군청의 취치는 태하동으로 정하고, 구역은 울릉 전도와 죽도 및 석도(독도)를 관할한다.
    1905 러·일 전쟁 중에 일본이 독도를 무주지라며 '사마네 현 고시 제40호'를 통해 독도를 '다케시마'로 개칭하고 시마네 현에 편입시킨 후 1906년에 일방적으로 통보함
    1906 울릉도 군수인 심흥택 보고서에 독도가 우리 땅인 기록 존재
    1952 '인접 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을 통해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분명히 밝힘
    1953 울릉도 주민 33명으로 구성된 독도 의용 수비대 결성
    1956 한국 경찰 독도 상주(의용 수비대 해산)
    1981 독도 최초 주민(최종덕 전입), 헬리콥터 이·착륙 시설 설치
    1997 독도 박물관 건립(울릉도 도동), 독도에 접안 시설 설치

    2. 간도

    백두산 정계비 건립
    (숙종, 1712)
    조선과 청 사이에 국격 문제가 발생하자 백두산 정계비를 세워 양국의 경계를 정함서쪽은 압록강, 동쪽은 토문강을 경계로 함
    간도 관리사 파견
    (고종, 1903)
    간도를 두고 청과 영유권 문제가 생기자, 대한 제국은 1903년 간도 관리사로 이범윤을 파견(간도를 함경도 행정 구역에 편입)
    간도 협약(1909) 만주 철도 부설권 획득 대가로 일본이 간도를 청에 넘김

    3. 지역사

    강릉 오죽헌(이이, 신사임당)
    강진 백련사(요세의 백련 결사), 고려청자 도요지, 정약용의 다산 초당
    강화 참성단(단군 제사), 고인돌 유적(세계 문화유산), 몽골 침략 시 강화 천도, 고려 궁지, 삼별초 항쟁, 정족산 사고(조선왕조실록 보관), 강화학파(정제두), 병인양요(양헌수), 신미양요(어재연), 강화도 조약 체결
    개성 고려의 도읍지(개경), 만적의 난, 선죽교(정몽주 피살), 송상, 개성 공단 건설
    거문도 거문도 사건(영국)
    고령 대가야, 지산동 고분군
    공주 석장리 유적(구석기 시대), 백제의 도읍지(웅진), 무령 왕릉, 김헌창의 난(신라 헌덕왕), 망이·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 우금치 전투(제2차 동학 농민 운동)
    광주 광주 학생 항일 운동, 5·18 민주화 운동
    논산 황산벌 전투(계백),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개태사지
    대구 국채 보상 운동 시작
    부산 왜관 설치, 부산진에 왜군 상륙(임진왜란), 개항장(강화도 조약), 부산 절영도 조차 요구(러시아), 경부선 부설, 임시 수도(6·25 전쟁), 부·마 민주 항쟁
    부여 백제의 도읍지(사비), 백제 금동 대향로 출토
    안동 공민왕의 피난(홍건적의 침입), 도산 서원(이황), 하회 마을(세계 문화유산)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백운동 서원(소수서원)
    완도 청해진(장보고)
    울산 반구대 암각화, 통일 신라 국제 무역항, 효심의 봉기(무신 집권기)
    용인 처인성 전투(김윤후)
    원산 개항장(강화도 조약), 원산 학사, 경원선 부설, 원산 노동자 총파업
    의주 강동 6주 획득(서희), 위화도 회군(이성계), 선조 피난(임진왜란), 대청 무역(만상), 경의선 부설
    익산 미륵사지 석탑, 안승의 보덕국, 백제 역사 유적 지구(왕궁리 유적, 미륵사지 유적)
    인천 개항장(강화도 조약), 제물포 조약, 인천 상륙 작전(6·25 전쟁)
    전주 후백제 도읍지(완산주), 무신 정권 시기 관노의 난, 전동 성당(신해박해), 전주 화약(동학 농민 운동)
    제주 고산리 유적(신석기), 삼별초 항쟁(항파두리 항몽 유적지), 탐라총관부(원 간섭기), 하멜 일행의 표류, 김정희 유배지, 상인 김만덕, 알뜨르 비행장(일제 군사기지), 4·3 사건
    진도 삼별초 항쟁(배중손)
    진주 진주 대첩(임진왜란), 진주 농민 봉기, 조선 형평사 창립(형평 운동)
    철원 후고구려의 도읍지(궁예)
    평양 고구려의 도읍지(장수왕의 천도), 안동 도호부 설치(당),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조·명 연합군의 평양성 탈환(임진왜란), 제너럴 셔먼호 사건, 대성 학교(안창호), 물산 장려 운동 시작(조만식), 남북 정상 회담
    합천 해인사(팔만대장경)
    흑산도 정약전 유배지(자산어보 저술)

    독도와 간도, 지역사 정리 끝.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