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제의 침략과 국권 피탈
넵튜너스
2022. 3. 8. 22:33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일제의 침략과 국권 피탈
1. 러·일 전쟁의 발발
- 배경
(1)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 심화 : 러시아의 지속적인 남하 정책과 일본의 한반도 및 대륙 진출의 대립
(2) 제1차 영·일 동맹 체결(1902) : 러시아에 대한 영국과 일본 간 군사적 동맹
(3) 대한 제국의 국외중립 선언→일본이 한반도의 독점적 지배권을 확보하고자 함 - 전개 과정
(1) 러·일 전쟁 발발(1904.2.~1905.9.) : 일본이 러시아를 선제공격하면서 발발
(2) 한·일 의정서(1904.2.) : 군사적 요지와 시설 점령, 내정 간섭, 외교권 행사 간여
(3) 기 쓰라·태프트 밀약(1905.7.) :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권리를 일본이 인정하는 대신 미국은 일본의 한국에 대한 우월권 인정
(4) 제2차 영·일 동맹(1905.8.) :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영국이 일본의 한국 지배권을 인정
(5) 포츠머스 강화 조약(1905.9.) : 러·일 전쟁을 마무리하는 조약(일본의 승리)→러시아가 일본의 한국 지배권 인정
※한·일 의정서※ 제1조 한·일 양국사이의 항구적으로 변함없는 친교를 유지하고 동양의 평화를 확고히 이룩하기 위하여 대한 제국 정부는 대일본 제국 정부를 확고히 믿고 시정(施政) 개선에 관한 충고를 받아들인다. 제2조 제3국의 침략이나 내란으로 인해 대한 제국 황실의 안녕과 영토의 보전에 위험히 있을 경우에 대일본 제국 정부는 속히 형편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대한 제국 정부는 대일본 제국의 행동이 용이하도록 충분히 편의를 제공한다. 대일본 제국 정부는 전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사 전략상 필요한 지점을 형편에 따라 차지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일 의정서- |
2. 일제의 국권 침탈
- 제1차 한·일 협약(1904.8.)
(1) 내용 : 일본이 추천하는 고문의 사전 동의 없이는 일체의 재정 및 외교상의 일을 처리할 수 없게 됨
(2) 고문 정치 시작 : 재정 고문에 일본인 메가타, 외교 고문에 미국인 스티븐스 등 파견
※제1차 한·일 협약※ - 대한 제국 정부는 일본 제국 정부가 추천한 일본인 1명을 재정 고문에 초빙하여 재무에 관한 사항은 모두 그의 의견을 들어 시행할 것 - 대한 제국 정부는 외국과의 조약 체결, 기타 중요한 안건의 처리에 관여하는 미리 일본 정부와 협약할 것 |
-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 1905.11.)
(1) 내용 :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내정에 대한 지배권 강화
(2) 고종의 대응
무효 선언 | 조약 거부 및 대신들의 조약 체결 무효 선언 |
헤이그 특사 파견 (1907) |
이상설, 이준, 이위종에게 친서와 신임장을 주고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 편화회의에 참석하게 함→을사늑약의 무효와 일제의 참략적 행위를 알리고자 하였으나 실패함→일제의 의한 고종의 강제 퇴위 |
※을사늑약※ 제2조 일본국 정부는 한국과 타국 사이에 현존하는 조약의 실행을 완수할 임무가 있으며, 한국 정부는 금후 일본국 정부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는 국제적 성질을 가진 어떤 조약이나 약속도 하지 않는다. 제3조 일본국 정부는 그 대표자로 하여금 한국 황제 폐하의 궐하에 1명의 통감(統監)을 두게 하며, 통감은 전적으로 외교에 관한 사항을 관리하기 위하여 경성 주재하고 한국 황제 폐하를 친히 내알(內謁)할 권리를 가진다. |
- 을사늑약 체결에 대한 반발
(1) 을사 의병 : 최익현 등이 의병을 일으킴
(2) 자결 : 민영환 등 우국지사의 자결
(3) 언론 활동 :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논설로 규탄
(4) 의열 투쟁 : 5적 암살단 조직(나철, 오기호 등), 매국노 이완용 처단 시도(이재명),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저격(1908, 장인환·전명운),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처단(1909, 안중근) - 한·일 신협약(정미 7 조약, 1907.7.)
(1)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 체결
(2) 일본인의 대한 제국 요직 차지(차관 정치)→부수 비밀 각서를 통해 군대 해산 결정 - 기유각서(1909.7.) : 사법권과 감옥에 대한 사무 박탈
- 경찰권 위탁 각서(1910.6.) : 경찰권 강탈
- 일제의 국권 피탈(1910.8.) : 일진회의 친일 여론 책동(합방 청원서와 성명서 발표 등)→한·일 병합조약으로 대한 제국 국권 강탈
일제의 침략과 국권 피탈 요점 정리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