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갑오·을미개혁
넵튜너스
2022. 3. 6. 19:06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갑오·을미개혁
1. 갑오개혁
- 갑오개혁의 배경
(1) 내적 : 동학 농민군의 개혁 요구, 교정청을 설치하고 자주적 개혁 착수
(2) 외적 : 일본의 내정 개혁 요구, 군대 주둔, 침략 기반 마련 목적 - 제1차 갑오개혁(1894.7.)
(1) 배경
- 조선의 일본군 철수 요구→일본군의 경복궁 점령→흥선 대원군을 섭정으로 하는 제1차 김홍집 내각 수립 및 군국기무처 설치→개혁 추진
- 청·일 전쟁 발발로 일본의 간섭이 약한 틈을 타서 진행,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군 개혁 주장 일부 반영
(2) 개혁 내용
정치 | '개국' 연호 사용, 왕실 사무와 정부 사무 분리(궁내부 신설), 6조를 8아문으로 개편, 과거제 폐지, 경무청 신설 |
경제 | 재정 일원화(탁지아문), 은본위 화폐 제도 실시, 조세 금납제 시행, 도량형 통일 |
사회 | 봉건적 사회 체제의 해체 : 신분제 철폐(공·사노비 제도 폐지), 인신 매매 금지, 조혼 금지, 과부 재가 허용, 고문과 연좌법 폐지 |
- 제2차 갑오개혁(1894.12.)
(1) 배경 : 일본의 청·일 전쟁에서 승세(개혁 간섭)→흥선 대원군 퇴진, 일본에서 박영효 귀국→군국기무처 폐지, 제2차 김홍집 내각 성립(김홍집과 박영효의 연립 내각 구성)
(2) 홍범 14조 반포(1895.1.) : 고종이 종묘에 나가 독립 서고문을 바지고 선포
(3) 개혁 내용
정치·군사 | - 내각제 및 8아문을 7부로 개편, 지방 행정 구역을 8도에서 23부로 개편, 지방관의 사법권·군사권 배제, 재판소 설치 - 훈련대와 시위대 설치 |
경제·교육 | - 육의전·상리국(보부상 단체) 폐지 - 교육 입국 조서 발표→근대적 교육 제도 마련(한성 사범 학교 관제, 소학교 관제, 외국어 학교 관제 등) |
2. 을미개혁
- 삼국 간섭과 을미사변
(1) 청·일 전쟁 종결(시모노세키 조약, 1895.4.)→러시아 주도의 삼국 간섭(일본의 랴오둥 반도 점령 무산, 1895.4)→일본의 세력 약화
(2) 고종과 명성 황후의 일본 견제, 박영효 실각→친러 내각 수립→을미사변 발생(1895.8.)
※을미사변※ 미우라 고로는 "20년간 지속도히어 온 조선의 화근을 제거하고자 하는데, 실로 이 한 번의 거사에 달려 있다."라고 말하고, 마침내 궁궐로 들어가 왕후를 시해하라는 뜻을 교사하였다. (중략) 자객들은 여러 방을 샅샅이 조사하여 마침내 조금 더 깊은 방안에서 왕후를 찾아내고는, 칼날로 베어 그 자리에서 시해하였다. -『대한계년사』- |
- 을미개혁(1895)
(1) 배경 : 을미사변 직후 성립된 김홍집 내각의 개혁 추진
(2) 개혁 내용
- 정치·군사 : 연호 제정(건양), 친위대(중앙)·진위대(지방) 설치
- 사회 : 단발령 실시, 태양력 사용, 종두법 시행, 우체사 설치(우편 사무 재개), 소학교 설치
(3) 반발 :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하며, 각지에서 의병 봉기(을미의병)→아관 파천으로 개혁 중단
※단발령 시행※ 11월 15일 고종은 비로소 머리를 깍고 내외 신민에게 명하여 모두 깎도록 하였다. (중략) 궁성 주위에 대포를 설치한 후 머리를 깎지 않는 자는 죽이겠다고 선언하니 고종이 긴 한숨을 내쉬며 정병하를 돌아보고 말하기를 "경이 짐의 머리를 깎는 게 좋겠소."라고 하였다. -『매천야록』- |
3. 갑오·을미개혁의 의의와 한계
의의 | - 민족 내부에서의 근대화 노력 - 개화 인사들과 농민층의 개혁 의지 반영 - 조선의 개화파 관료들의 주도로 개혁 추진 - 봉건적인 전통 질서를 타파하는 근대적 개혁 |
한계 | - 일본의 강요로 착수→일본의 침략을 용이하게 하는 제도 개혁 중심, 군제 개혁에는 소홀 - 토지 개혁 등 민중의 요구 외면 |
갑오·을미개혁 요점 정리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