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조선의 기틀 마련

넵튜너스 2022. 2. 12. 21:27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조선의 기틀 마련

 

1. 조선의 건국

  • 요동 정벌 추진 : 명의 철령위 이북 요구→최영을 중심으로 요동 정벌 단행
  • 위화도 회군(1388) : 이성계, 위화도에서 회군→최영을 제거하고 실권 장악
  • 신진 사대부의 분화
    구분 중심인물 주장
    온건 개혁파 이색·정몽주 고려 왕조를 유지하며 점진적 개혁 주장
    급진 개혁파 정도전·조준 새로운 왕조를 세우는 역성혁명 주장
  • 과전법 시행(1391) : 국가 재정 확보, 신진 사대부의 경제적 기반 마련
  • 조선 건국(1392) : 온건파 사대부(정몽주 등) 제거→조선 건국

2. 국가의 기틀 마련

  • 태조(이성계)
    (1) 조선 건국 : 국호 조선, 한양 천도(1394), 경복궁 건설
    (2) 정도전의 활약
    - 조선 건국 주도
    -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등 저술→재상 중심의 정치 운영 주장
    - 『불씨잡변』 저술→불료의 폐단 비판
    -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게 피살
    ※기출자료(정도전의 재상 중심의 정치 운영)※
     훌륭한 재상을 얻으면 육전(六典)이 잘 거행되고 모든 직책이 잘 수행된다. 그러므로 임금이 할 일은 한 사람의 재상을 정하는 데에 있다고 하였다. 재상은 위로는 임금을 받들고 밑으로는 모든 관리를 통솔하여 만민을 다스리는 자리이니, 그 직분이 매우 큰 것이다. -『조선경국전』-
  • 태종(이방원)
    (1) 집권 : 왕자의 난을 통해 개국 공신 축출
    (2)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 6조 직계제 실시, 사간원 독립
    (3) 경제 기반 마련 : 양전 사업, 호패법 실시→수위 대상의 확보
    (4) 사병 혁파 : 공신과 왕족의 사병을 없앰→군사권 장악, 왕권 강화
    (5) 신문고 제도 실시 : 신문고라는 북을 두드려 백성이 억울한 일을 하소연하게 함
    (6) 문화 발전 : '혼일강리 역대 국도 지도'(세계 지도) 제작, 주자소 설치(계미자 주조)
    ※기출자료 (신문고 제도)※
     의정부에서 상소하기를, "서울과 외방의 고할 데 없는 백성이 억울한 일을 소재지의 관아에 고하여도 이를 다스려 주지 않으면, 나와서 등문고를 치도록 허락하소서, 등문한 일은 사헌부로 하여금 추궁해 밝혀서 억울한 것을 펴게 하고, 그중에 사사로이 원망을 품어 감히 무고를 행하는 자는 반좌율을 적용하여 참소하고 간사한 것을 막으소서."라고 하니, 그래도 따랐다. 등문고를 고쳐 신문고라 하였다.
  • 세종
    (1) 유교 정치의 실현
    - 집현전 설치(학문 연구 기관), 경연 활성화
    - 의정부 서사제 실시→왕권과 신권의 조화 추구
    (2) 대외 관계 변화
    - 영토 확장 : 4군(최윤덕) 6진(김종서) 개척
    - 대마도 정벌 : 이종무가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쓰시마 섬) 정벌
    - 삼포 개항 : 일본의 요청으로 부산포, 제포, 염포 개항
    (3) 민족 문화 발달에 기여
    - 훈민정음 창제 및 반포
    - 혼의·천의,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등 제작
    - 『칠정산』 내·외편, 『향약집성방』, 『농사직설』, 『삼강행실도』 등 편찬
    ※기출자료(『칠정산』내·외편 편찬)※
     우리나라 일관(日官)들은 역법과 천문으로 때를 맞추는 방법에 소홀한 지 오래되었다. 이에 왕께서는 역법과 천문의 책을 두루 연구하여서 신하들에게 대명력, 수시력, 회 회력 등을 참고하여 칠정산 내편과 외편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 세조(수양 대군)
    (1) 권력 장악 : 계유정난을 통해 어린 단종을 폐하고 왕위 즉위(단종 복위를 꾀한 사육신 처형)
    (2) 왕권 강화 추구 : 6조 직계제 실시, 집현전 폐지, 경연 폐지, 직전법 실시
  • 성종
    (1) 통치 체제의 확립
    - 『경국대전』 완성 및 반포 : 세조 때 시작하여 성종 때 완성→조선의 기본 통치 이념과 방향 제시
    - 홍문관 설치, 경연 활성화
    - 관수 관급제 실시
    ※기출자료(『경국대전』의 편찬)※
    - 편찬 : 세조 때 시작하여 성종 때 완성
    - 내용 : 왕명·교지·조례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 의의 : 유교적 법치 국가의 토대 마련
    (2) 편찬 사업 : 『동국통감』(고조선~고려의 역사서), 『악학궤범』(음악 서적), 『동국여지승람』(지리서), 『동문선』(시와 산문 수록) 편찬

조선의 기틀 마련 요점 정리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