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남북국의 경제·사회

넵튜너스 2022. 1. 31. 13:53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남북국의 경제·사회

 

1. 남북국 시대의 경제적 변화

  • 통일 신라의 경제 정책
    (1) 수취 제도의 정비
    조세 통일 이전보다 완화하여 생산량의 10분의 1 수취
    공물 촌락 단위로 그 지역의 특산물 징수
    군역과 요역, 16~60세의 남자를 대상으로 부과
    (2) 촌락 지배 : 매년 촌락의 변동사항을 조사하여 촌주가 3년마다 문서 작성(민정 문서)→조세, 공물, 부역 징수의 근거
    (3) 토지 제도 : 식읍 제한,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 폐지, 백성에게 정전 지급귀족 견제, 왕권 강화, 농민 경제 안정 추구
  • 통일 신라의 경제 활동
    상업 경주의 인구 증가, 상품 생산 증가→통일 이전의 동시 외에 서시와 남시 설치
    수공업 왕실과 귀족이 사용하는 물품을 만드는 관청 정비(장인, 노비가 물품 제조)
    국제 무역 - 당 : 공무역과 사무역 발달
    - 일본 : 초기에는 교류 제한, 8세기 이후 무역 활발
    - 이슬람 : 이슬람 상인들이 울산(신라 최대의 국제 무역항)까지 왕래하여 무역
    장보고의 활동 9세기 초 완도에 청해진 설치, 남해와 황해의 해상 무역권 장
    신라인의
    중국 진출
    당의 산둥 반도와 양쯔강 하류에 신라방과 신라촌(신라인 거주지), 신라소(신라인을 다스리는 자치 기구), 신라관(여관), 신라원(절, 장보고가 산둥 지방에 설치한 법화원이 대표적) 설치
  • 통일 신라 귀족의 경제생활
    (1) 왕실 : 새로 획득한 땅 소유, 국가 수입의 일부를 왕실 수입으로 삼음
    (2) 귀족 : 식읍과 녹읍의 농민을 지배하여 조세·공물을 징수하고 노동력 동원, 물려받은 토지·노비·목장·섬 등 소유, 서민을 상대로 한 고리대업→호화로운 생활
  • 통일 신라 농민의 경제생활
    (1) 농업 생산력의 한계 : 시비법이 발달하지 못해 매년 경작하지 못함, 척박한 토지 소유→생계를 위해 남의 토지를 빌려 경작(수확량의 반 이상을 소작료로 납부)
    (2) 과도한 수취 : 생산량의 10분의 1을 전세로 납부, 공물과 부역 부담
    (3) 향·부곡의 주민 : 일반 군현의 농민보다 더 많은 공물 부담, 신분적으로 낮은 대우
    (4) 노비 : 관청이나 개인 소유, 일용 잡무, 주인의 농장 관리나 주인의 땅 경작
  • 발해의 경제 발달
    (1) 수취 체제 : 조세(조, 콩, 보리), 공물(베, 명주, 가죽 등 특산물), 부역 동원
    (2) 상업의 발달
    농업 밭농사 중심, 일부 지역에 벼농사 지음
    목축·수렵 목축 발달, 말이 주요 수출품, 모피·녹용·사향 생산
    상업 금속 가공업, 직물업, 도자기업 발달 수도 등 도시와 교통 요충지를 중심으로 발달
    (3) 대외 무역
    신라와의 관계 문왕 때부터 신라도를 통한 교류
    당과의 관계 해로와 육로를 이용하여 무역{당이 덩저우에 발해관(당에서 발해 사신이 이용할 수 있도록 산둥 반도의 덩저우에 설치한 여관) 설치}
    일본과의 관계 친선 관계 유지, 많은 사신 왕래

2. 남북국의 사회

  • 통일 후 신라 사회의 변화
    민족 문화 발전 삼국의 혈연적 동질성, 문화적 공통성을 바탕으로 민족 문화가 발전하는 계기
    민족 통합 노력 백제와 고구려 지배층에게 신라 관등 수여, 백제와 고구려 유민을 9 서당에 편성
    진골 귀족 중심 중앙 관청과 지방의 장관직 독점, 귀족 간의 합의를 통해 국가 중대사 결정
    6 두품의 성장 학문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국왕을 보좌하며 정치 진출 활발, 신분적 제약으로 중앙 관청의 우두머리나 지방 장관은 되지 못함
    골품제 변화 3두품~1두품은 점차 평민화되어 감
  • 발해의 사회 구조
    (1) 지배층 : 왕족 대씨, 귀족 고씨 등 고구려계가 대부분
    (2) 피지배층 : 다수가 말갈인→일부는 지배층으로 편입, 촌락의 우두머리로 국가 행정 보조
    (3) 당에 유학생 파견 : 빈공과 응시, 당의 문물 수용
    (4) 사회 모습 : 고구려와 말갈 사회의 전통 생활 모습 유지
  • 신라 말의 사회 모순
    (1) 중앙 귀족 : 정권 다툼, 대토지 소유 확대
    (2) 호족의 등장 : 지방의 무장 조직을 아우른 큰 세력가
    (3) 농민 : 조세 부담 가중(자영농 몰락)→9세기 말 농민 봉기 확산

남북국의 경제·사회 요점 정리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