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남북국의 경제·사회
넵튜너스
2022. 1. 31. 13:53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남북국의 경제·사회
1. 남북국 시대의 경제적 변화
- 통일 신라의 경제 정책
(1) 수취 제도의 정비조세 통일 이전보다 완화하여 생산량의 10분의 1 수취 공물 촌락 단위로 그 지역의 특산물 징수 역 군역과 요역, 16~60세의 남자를 대상으로 부과
(3) 토지 제도 : 식읍 제한,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 폐지, 백성에게 정전 지급→귀족 견제, 왕권 강화, 농민 경제 안정 추구 - 통일 신라의 경제 활동
상업 경주의 인구 증가, 상품 생산 증가→통일 이전의 동시 외에 서시와 남시 설치 수공업 왕실과 귀족이 사용하는 물품을 만드는 관청 정비(장인, 노비가 물품 제조) 국제 무역 - 당 : 공무역과 사무역 발달
- 일본 : 초기에는 교류 제한, 8세기 이후 무역 활발
- 이슬람 : 이슬람 상인들이 울산(신라 최대의 국제 무역항)까지 왕래하여 무역장보고의 활동 9세기 초 완도에 청해진 설치, 남해와 황해의 해상 무역권 장악 신라인의
중국 진출당의 산둥 반도와 양쯔강 하류에 신라방과 신라촌(신라인 거주지), 신라소(신라인을 다스리는 자치 기구), 신라관(여관), 신라원(절, 장보고가 산둥 지방에 설치한 법화원이 대표적) 설치 - 통일 신라 귀족의 경제생활
(1) 왕실 : 새로 획득한 땅 소유, 국가 수입의 일부를 왕실 수입으로 삼음
(2) 귀족 : 식읍과 녹읍의 농민을 지배하여 조세·공물을 징수하고 노동력 동원, 물려받은 토지·노비·목장·섬 등 소유, 서민을 상대로 한 고리대업→호화로운 생활 - 통일 신라 농민의 경제생활
(1) 농업 생산력의 한계 : 시비법이 발달하지 못해 매년 경작하지 못함, 척박한 토지 소유→생계를 위해 남의 토지를 빌려 경작(수확량의 반 이상을 소작료로 납부)
(2) 과도한 수취 : 생산량의 10분의 1을 전세로 납부, 공물과 부역 부담
(3) 향·부곡의 주민 : 일반 군현의 농민보다 더 많은 공물 부담, 신분적으로 낮은 대우
(4) 노비 : 관청이나 개인 소유, 일용 잡무, 주인의 농장 관리나 주인의 땅 경작 - 발해의 경제 발달
(1) 수취 체제 : 조세(조, 콩, 보리), 공물(베, 명주, 가죽 등 특산물), 부역 동원
(2) 상업의 발달농업 밭농사 중심, 일부 지역에 벼농사 지음 목축·수렵 목축 발달, 말이 주요 수출품, 모피·녹용·사향 생산 상업 금속 가공업, 직물업, 도자기업 발달 수도 등 도시와 교통 요충지를 중심으로 발달 신라와의 관계 문왕 때부터 신라도를 통한 교류 당과의 관계 해로와 육로를 이용하여 무역{당이 덩저우에 발해관(당에서 발해 사신이 이용할 수 있도록 산둥 반도의 덩저우에 설치한 여관) 설치} 일본과의 관계 친선 관계 유지, 많은 사신 왕래
2. 남북국의 사회
- 통일 후 신라 사회의 변화
민족 문화 발전 삼국의 혈연적 동질성, 문화적 공통성을 바탕으로 민족 문화가 발전하는 계기 민족 통합 노력 백제와 고구려 지배층에게 신라 관등 수여, 백제와 고구려 유민을 9 서당에 편성 진골 귀족 중심 중앙 관청과 지방의 장관직 독점, 귀족 간의 합의를 통해 국가 중대사 결정 6 두품의 성장 학문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국왕을 보좌하며 정치 진출 활발, 신분적 제약으로 중앙 관청의 우두머리나 지방 장관은 되지 못함 골품제 변화 3두품~1두품은 점차 평민화되어 감 - 발해의 사회 구조
(1) 지배층 : 왕족 대씨, 귀족 고씨 등 고구려계가 대부분
(2) 피지배층 : 다수가 말갈인→일부는 지배층으로 편입, 촌락의 우두머리로 국가 행정 보조
(3) 당에 유학생 파견 : 빈공과 응시, 당의 문물 수용
(4) 사회 모습 : 고구려와 말갈 사회의 전통 생활 모습 유지 - 신라 말의 사회 모순
(1) 중앙 귀족 : 정권 다툼, 대토지 소유 확대
(2) 호족의 등장 : 지방의 무장 조직을 아우른 큰 세력가
(3) 농민 : 조세 부담 가중(자영농 몰락)→9세기 말 농민 봉기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