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신라의 성립과 발전

넵튜너스 2022. 1. 22. 22:29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신라의 성립과 발전

 

1. 신라의 성장

  • 성립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는 알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짐, 난생 설화) : 진한의 소국인 사로국에서 시작→경주 지역의 토착 세력과 남하한 이주민 세력이 건국(기원전 57)→사로국이 점차 주변의 진한 세력을 아우르면서 성장
  • 초기 신라의 발전
    ① 6 부족 연맹체 : 6부의 대표들이 회의를 통해 국가 운영
    ② 왕권의 미약 : 박 · 석 · 김의 세 성씨에서 왕 선출(초기에 박 · 석 · 김의 3성이 교대로 왕위를 차지하다가 내물왕 이후 김 씨가 독점적으로 세습함)
    ③ 불리한 지리적 여건 : 한반도 동남쪽에 치우침→중국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기 어려움
    ④ 여러 세력 집단의 연합 : 체제 정비와 국가 통합이 늦음
  • 중앙 집권 국가로의 성장
    내물왕
    (4세기 후반)
    - 낙동감 동쪽의 진한 지역을 거의 차지(고대 국가의 기틀 마련)
    - 김 씨에 의한 왕위 계승권 확립
    - 왕의 칭호로 대군장을 뜻하는 '마립간' 사용
    - 가야 · 왜의 칩임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도움으로 물리침(400)→고구겨의 정치적 간섭(고구려를 통하여 중국의 선진 문물 수용)
    자주성 회복 노력 눌지왕(박제상의 망부석 설화와 관련 있음) 때 백제와 나 · 제 동맹(433)→고구려의 간섭을 벗어나고자 함→소지왕 때 나 · 제 동맹 강화(백제와 혼인 동맹 체결)

2. 신라의 발전

  • 지증왕(6세기 초) : 체제 정비
    ① 국호와 왕호 변경 : 국호를 '신라', 왕호를 '마립간'에서 '왕'으로 고침.
    ② 지방 제도 정비 : 주 · 군 · 현으로 나누고 관리 파견
    ③ 대외 활동 : 동해안 지역까지 세력 확대, 우산국(울릉도) 정복(512, 이사부)
    ④ 생산력 증대 : 순장 금지, 우경 장려→농업 생산력 증대, 상업 발달(수도에 동시 설치→시장인 동시를 관리하는 동시전 설치)
    ⑤ 기출자료(지증왕) : (왕이) 주군(郡)의 지방관에게 명령하여 농사를 권장하도록 하였다. 이때부터 소(우경)를 이용하여 밭을 갈기 시작하였다. 신하들이 아뢰기를, "이제 한뜻으로 삼가 '신라 국왕'이라는 칭호를 올립니다."라고 하니, 왕이 이를 따랐다.  「삼국사기」
  • 법흥왕(6세기 전반) : 중앙 집권 체제 강화
    체제 정비 - 병부 설치 : 군사에 관한 일을 맡아보게 함(왕이 직접 군사적 장악)
    - 율령 반포 및 관등제 정비 : 율령 반포(527), 관리의 등급을 17등급으로 구분, 관복 제정
    - 상대등 설치 및 골품제 정비 : 상대등이 귀족 회의 주관, 골품제의 체계적인 정비
    불교 공인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 공인(527)→신라인의 정신적 통합 꾀함.
    영토 확장 - 낙동강 유역의 금관가야 병합(532)→김해 지역 확보
    - 연호 사용(건원)→중국과 대등한 나라임을 강조
  • 진흥왕(6세기 중반) : 한강 유역 차지
    ① 대외 팽창 활동{단양 적성비와 4개의 순수비(북한산비, 창녕 비, 마운령비, 황초령비)를 세움}
    한강 유역 확보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한강 상류 지역 차지(단양 적성비)→백제로부터 한강 하류 지역마저 빼앗아 한강 유역 모두 차지(북한산 순수비)
    대가야 정복 고령의 대가야 정복(562)→낙동강 유역 전체 차지(가야 멸망)
    함흥평야 진출 동해안을 따라 함흥평야(함경도 지방)까지 진출(마운령비, 황초령비)
    ② 민심 통합
    -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유능한 인재 양성
    - 황룡사 건립(황룡사 구층 목탑은 선덕 여왕 때 건립), 불교 집회→국가의 통합과 발전 기원
    ③ 자주 의식 : 스스로 '태왕'이라 칭함, '짐' 호칭 사용, 독자적인 연호 '개국' 사용, 거칠부 「국사」 편찬→왕권 강화와 강해진 국력 과시
    ④ 한강 유역 차지의 의미 : 경체 기반 확충, 군사적 거점 확보(삼국 항쟁의 주도권 차지)→당항성을 통해 중국과 직접 교역
  • 7세기의 정세
    ① 선덕 여왕(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여왕) : 첨성대 건립,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② 진덕 여왕
    - 집사부를 설치하고 장관을 중시라고 함.
    - 김춘추를 파견하여 당과 동맹을 맺음(나 · 당 연합, 648)

신라의 성립과 발전 요점 정리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