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커머스 시장 환경 및 유형
소셜 커머스 시장 환경 및 유형
3.1 소셜 커머스의 정의 및 시장 규모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상거래(commerce) 형태로, 현재 이는 다양한 모델로 변모하여 급성장 중이며, 2011년에는 1조 원 시장을 형성하였고, 2012년에는 약 2조 원 규모, 2014년에는 3조 원 이상으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유통업체들은 한때 소셜 커머스 이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이 인기를 얻으면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마케팅 채널 다변화 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소매업체들은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 그날의 특가 상품을 홍보하고, 고객 피드백을 수집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객들과 보다 친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소비자들이 할인행사를 검색하는 데만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상품 리뷰를 확인하며 다른 주제에 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도 한다.
과거 소비자들이 매장에서 상품을 직접 보고 만져봐야 직성이 풀렸다면, 최근 디지털 세대들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공개된 투명한 정보를 통해 상품 구매에 대한 확신을 얻는다. 즉, 소매업체가 운영하는 트위터에서 팔로워(follower)들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사용자 후기를 읽어 본 후 구매에 나서 고객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매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상품 구매에 있어 기술적인 조언을 구하고, 상호 간에 쇼핑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소셜 미디어를 개발·운영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고객들과 직접 대화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매업 마케팅과 고객 서비스 전략에 있어 하나의 혁명적인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업체 간 경쟁, 온라인과 온라인 경쟁, 오프라인과 오프라인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또한 소비자들의 장기적인 소비 심리 침체로 인해 가격 중심의 프로모션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소셜 커머스 시장은 가격비교에 의한 경쟁 심화로 인해, 고객의 방문(traffic) 확대에 따른 매출은 증가하고 있으나, 가격 할인에 따른 수익성은 저하되고 있다. 고객은 할인 자극에 점점 더 둔감해지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
3.2 소셜 커머스의 유형 및 운영 형태
현재, 소셜 커머스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유형은 일반적인 형태인 공동구매(group buy)를 포함하여 6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공동구매(group buy)
공동구매(group buy)는 가장 보편적인 소셜 커머스의 형태로 관심 지역의 서비스나 온라인상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일정 인원 이상이 구입하면 상품 할인 폭이 높아지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공동구매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지역 기반 공동구매이다. 공동구매의 태생은 일정 지역 내에서 지역업체를 모집하여 서비스를 확보하고, 일정 수의 인원 및 상품 수량이 채워지면 서비스를 대폭 할인된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다. 둘째, 상품 및 서비스 공동구매이다. 공동구매 모델은 점차 발달하여, 지역 기반을 제외하고, 온라인상에서 일정 수의 인원이나 수량이 채워지면 상품이나 서비스를 할인된 가격에 공동으로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쿠팡은 대표적인 공동구매 유형에 속하며, 쿠팡은 지역 기반 판매와 상품 및 서비스 기반 판매를 형성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지역 기반 공동구매 모델만 있었으나 점차 상품 및 서비스 공동구매 모델로 확장하고 있다.
2) 플래시 세일(flash sale)
플래시 세일(flash sale)은 짧은 기간 동안 회원을 대상으로 파격 세일 이벤트를 진행하여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모델이나, 현재는 공동구매나 플래시 세일 모델을 Mix 하여 판매하는 모델로 활용 중이다. 온라인 업체들은 공동구매와 플래시 세일 모델을 Mix 하여 일정 수량 이상과 일정 기간을 정해 대폭 할인 판매하는 모델로 활용하고 있다.
3) 소셜 큐레이션(social curation)
소셜 큐레이션(social curation)은 온라인상에서 고객이 단순히 사용자(user)가 아닌, 창조자(creator)로서 자신의 활용하여 다른 고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는 모델로, 이를 통해 고객 간의 자발적인 상호작용과 온라인 사이트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로의 쇼핑을 돕고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는 서비스이다.
4) LBS Social Apps.
LBS Social Apps는 모바일 앱을 통하여 고객에게 온라인 업체와 제휴한 오프라인 매장의 쿠폰, 프로모션, 포인트 등을 제공하고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서비스로서, 상거래의 범위를 온라인에서 오프라인까지 확장시킨 새로운 형태의 소셜 커머스 모델이다.
5) Purchase Sharing
Purchase Sharing은 고객의 신용카드 정보를 온라인 사이트 및 지역 사업자와 공유하여, 지역 사업자는 마케팅 수잔을 제공받고, 고객은 포인트 등의 보상을 받는 모델이나, 고객이 신용카드 정보 등록을 꺼리는 등 활성화되지 못한 소셜 커머스 모델이다.
6) F-Commerce
소셜 네트워크 기능을 갖춘 Facebook에서 쇼핑몰을 개성 하여 온라인 매출을 올리는 방식 또는 기존 웹페이지 Facebook을 연동시키는 방식의 유형이나, F-Commerce의 성장은 점차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셜 커머스 시장 환경 및 유형 정리 끝.